- stack
- 큐
- regexp
- Vue
- Tree
- 완전검색
- distinct
- 백트래킹
- ORM
- delete
- DB
- Article & User
- 통계학
- 트리
- Django
- create
- 스택
- 뷰
- count
- drf
- outer join
- 쟝고
- Queue
- migrations
- update
- M:N
- SQL
- N:1
- 그리디
- 이진트리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목록쟝고 (44)
데이터 분석 기술 블로그
Login Login은 Session을 Create 하는 과정입니다. AuthenticationForm() 로그인 인증에 사용할 데이터를 입력 받는 built-in form입니다. 1. 로그인 페이지 작성 # accounts/urls.py app_name = 'accounts' urlpatterns = [ path('login/', views.login, name='login'), ] # accounts/views.py from django.contrib.auth.forms import AuthenticationForm def login(request): if request.method == 'POST': form = AuthenticationForm(request, request.POST) # form..
1. Django Authentication System (인증 시스템) Django Authentication System이란, 사용자 인증과 관련된 기능을 모아 놓은 시스템입니다. Authentications이란, 사용자가 자신이 누구인지 확인하는 것으로 즉, 신원 확인입니다. 1.1 사전 준비 두 번째 app accounts 생성 및 등록을 해야 합니다. auth와 관련한 경로나 키워드들을 django 내부적으로 accounts라는 이름으로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되도록 'accounts'로 지정하는 것을 권장합니다. # accounts/urls.py from django.urls import path from . import views app_name = 'accounts' urlpatterns =..
쿠키(Cookie) 서버가 사용자의 웹 브라우저에 전송하는 작은 데이터 조각입니다. 클라이언트 측에서 저장되는 작은 데이터 파일이며, 사용자 인증, 추적, 상태 유지 등에 사용되는 데이터 저장 방식입니다. 1. 쿠키 사용 원리 브라우저(클라이언트)는 쿠키를 KEY - VALUE의 데이터 형식으로 저장 이렇게 쿠키를 저장해 놓았다가, 동일한 서버에 재요청 시 저장된 쿠키를 함께 전송 쿠키는 두 요청이 동일한 브라우저에서 들어왔는지 아닌지를 판단할 때 주로 사용됩니다. 이를 이용해 사용자의 로그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. 상태가 없는(stateless) HTTP 프로토콜에서 상태 정보를 기억시켜 주기 때문입니다. 2. 쿠키를 이용한 장바구니 예시 장바구니에 상품 담기 개발자 도구 - Network 탭 -..
우리가 서버로부터 받은 페이지를 둘러볼 때 우리는 서버와 서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가 아닙니다. 1. HTTP HTML 문서와 같은 리소스들을 가져올 수 있도록 해주는 규약입니다. 웹(WWW)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데이터 교환의 기초입니다. 1.1 비 연결 지향(connectionless) 서버는 요청에 대한 응답을 보낸 후 연결을 끊습니다. 1.2 무상태(stateless) 연결을 끊는 순간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통신이 끝나며 상태 정보가 유지되지 않습니다. 상태가 없다는 말은 장바구니에 담은 상품을 유지할 수 없거나 로그인 상태를 유지할 수 없다는 뜻입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