데이터 분석 기술 블로그

CEIL 함수 본문

SQL/개념

CEIL 함수

데이터분석가 이채은 2024. 12. 17. 19:15

CEIL 함수란?

CEIL(또는 CEILING)은 주어진 숫자를 올림 하여 가장 가까운 정수를 반환하는 함수입니다. 소수점 이하를 버리고, 숫자를 더 큰 정수로 올립니다.


CEIL 구문

SELECT CEIL(number)
FROM table_name;
SELECT CEILING(number)
FROM table_name;
  • number: 올림할 숫자나 컬럼.

CEIL 특징

 

  1. 소수점 이하 올림:
    • 소수점을 포함한 숫자를 가장 가까운 큰 정수로 변환.
  2. 양수와 음수 처리:
    • 양수: 소수점 이하를 버리고 더 큰 정수로 올림.
    • 음수: 소수점 이하를 버리고 같은 값의 더 작은 절댓값 정수로 올림.
  3. NULL 처리:
    • 입력값이 NULL이면 결과도 NULL.
  4. 정수 입력값:
    • 이미 정수인 경우 값이 변하지 않음.

예제

 

 

1. 숫자 올림

SELECT number, CEIL(number) AS ceiled_value
FROM Numbers;


2. 조건에서 사용

문제: 올림값이 5 이상인 데이터 조회.

SELECT number
FROM Numbers
WHERE CEIL(number) >= 5;


3. 계산식에 사용

문제: 가격에서 15% 추가 후 올림값으로 새로운 컬럼 생성.

SELECT number, CEIL(number * 1.15) AS adjusted_value
FROM Numbers;

4. 정수와 소수 부분 분리

문제: 숫자의 정수와 소수 부분을 분리.

SELECT number, 
       CEIL(number) AS integer_part,
       CEIL(number) - number AS decimal_part
FROM Numbers;

'SQL > 개념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CURDATE 함수  (0) 2024.12.19
NOW 함수  (2) 2024.12.18
FLOOR 함수  (0) 2024.12.16
ABS 함수  (0) 2024.12.15
TRIM 함수  (0) 2024.12.14